일본도 타도중의 하나인 헤시키리 하세베 실물입니다. 바로 위의 사진은 헤시키리 하세베의 복제품이구요~ 『헤시키리 하세베(へし切長谷部)』의「헤시키리(へし切り)」는,「(갖다 대고)눌러서 베어내다(押し付けて)」라는 뜻으로, 오다 노부나가를 섬기던 챠보즈[1]가 실수로 그를 화나게 하여 혼날 것이 두려워 찬장 밑에 숨었다. 상식적으로 도검이라는 건 휘둘러야 사람을 벨 수 있을만한 위력이 생기는 물건인데, 헤시키리 하세베는 그저 대고 누르는 것만으로도 선반 밑에 숨은 챠보즈까지 두동강 내버렸으며, 이 극도의 예리함에 만족한 노부나가가 이름을 붙였다는 일화로 유명한 일본도이다.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이름이 붙여지기 전에는 삼 척에 달하는 무명의 대태도[2]였지만 쿠로다 간베에에게 건너가면서 도신을 줄인 결과, 길이 64.84 ㎝의 타도가 되었다. 남북조시대 때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, 혼아미 가에서 야마시로국(山城国)의 도공 하세베 쿠니시게(長谷部国重)[3]의 작품으로 감정한 것도 쿠로다 나가마사 때부터. 「쿠로다 치쿠젠노카미(黒田筑前守)」가 도신의 앞면에 기입된 것은 에도시대 이전인 모모야마시대의 일. 쿠로다 나가마사(黒田長政)[4]의 명을 받은 혼아미 고에츠(本阿弥光悅)가 새겼다. 칼의 뒷면에는 그의 화압(花押)인 「하세베쿠니시게혼아미(長谷部国重本阿)」가 있다. 헤시키리 하세베가 국보로 지정된 이유로는 지철을 포함한 도신 전체에 흐름이 큰 하몬(刃紋)이 있어서 시노기(칼날과 칼등 사이에 있는 꺾이는 부분)나 무네(棟)까지 흐름을 보이는 '히타츠라바(皆焼刃)'인 것이 가장 크다. 매우 어려운 기법으로 알려져 있어서 제작에 실패하면 칼의 품질을 크게 떨어트릴 가능성이 있는, 일반적으로 검의 끝 부분에만 사용되는 담금질 기법인 皆焼(히타츠라)가 검신의 날 뿐만 아니라 평지·호지·동의 각부에 모두 쓰여서, 하세베 쿠니시게 특유의 다레하몬(垂れ刃紋)이 아름답게 나타난 것이다. 하몬이란 열처리에 의해 칼날에 나타나는 모양을 뜻하...